-
[단독] 대한민국 국민 66% 공감, "노인 연령 기준 높이자"변하는 세상 2024. 3. 11. 11:11
ⓒ blog.swedish.org 65세 노인 연령 기준 올리자는데,
국민 3명 중 2명은 찬성
정부, 올해 안 연령 개편 로드맵 추진키로
65세, 당신은 노인입니까?
* 본 내용은 아래의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. - 한국개발연구원의 KDI FOCUS(2022.09.06, 통권 제115호) 「노인연령 상향 조정의 가능성과 기대효과」 -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2
tappingtrend.tistory.com
지난 3월 8일, 매일경제가 입수한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(저고위)의
'초고령사회 연령 통합적 기반 연구 마련 기초연구' 보고서에 따르면
국민 10명 중 7명(66.1%)은 '신체, 정신의 기능적 노화가 노인 구분 기준이 돼야 한다'고 응답했다.대한민국은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
이에 정부는 만 65세 노인 연령을 상향하는 방안을 포함해 연내에 연령제 개편안을 내놓는다는 방침이다.이에 따라 기업에서는 정년 연장 또는 정년이 지난 근로자를 재고용하는 방식 등
중고령 근무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고심이 깊다.
중고령 근무자에 대한 인식 개선은 물론 조직 내 신구세대 문화적 갈등 해결,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고령자 재교육 등
현실적인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.한 편, 고령층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응답한 국민들은
인력 활용 방안으로 재고용 권장 (38.1%), 정년 연장 (18.2%)을 꼽았다.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년제도의 안착이 선행되어야 한다.
우리보다 20년 앞서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준비한 일본의 사례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.서두르지 말고 전 세대 근로자, 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충분한 공감과 합의를 이끌어내는
노력과 그 과정이 매우 중요하겠다.[단독] “65세는 아직 팔팔, 노인 기준 올리자”...국민 3명중 2명 ‘공감’ - 매일경제
저출산위 보고서 입수 “정년·연금수급 시기 연장을” 정부, 연령 개편 로드맵 추진
www.mk.co.kr
반응형'변하는 세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창업진흥원 창업 지원사업 평가위원회 위원 후보단 지원하기 (0) 2024.03.20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란? (0) 2024.03.13 65세, 당신은 노인입니까? (0) 2024.02.01 제조업 고령화 현상, 60대 이상 취업자 20대 이하 첫 추월 (0) 2024.01.29 통계로 보는 나 혼자 '잘' 산다 - 여가 생활 편 (0) 2024.01.11